본문 바로가기
임신 , 출산 정보

착상증상 과 착상혈 구분법

by purple-flower 2022. 5. 18.
반응형

임테기를 사용하더라고 어느정도 시기가 지나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기적으로 생리를 하다가 갑자기 안하게 되면 덜컥 겁이나거나, 또는 기대하게 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생리와 착상혈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착상혈 구분법과 착상증상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 착상증상

찌르는 듯한 아랫배 통증인 착상통과 착상혈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슴이 예민해지고 단단 해지며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런데 아무 증상도 못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임신을 기다리시는 분이라면 약복용과 건강 관리에 늘 신경써야 합니다.

 

착상 과정과 착상 이후에는 체온 관리가 무척 중요합니다. 따뜻한 환경에서 착상도 잘되고, 착상 후에도 배아가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몸을 차게 만드는 습관이나 찬 음식은 아이를 위해 참아야 합니다.

 

□ 착상혈이란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착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극소량의 출혈입니다. 수정란이 자궁에 자리 잡기 위해 파고들면서 출혈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10명중 2~3명이 경험한다고 합니다.

 

□ 착상혈 시

착상혈은 배란 후 약 7~12일 뒤에 관찰할 수 있습니다. 생리 시기와 맞물릴 수 있으니 임신을 기다리신다면 다른 방법도 병행해서 체크해야 합니다.

 

□ 착상혈 기간

착상혈은 단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1~3일 동안 간헐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극소량으로 한 번만 경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상시 생리주기를 잘 파악해서 생리와 착상혈의 구분이 가능합니다.

 

생리 시기와 차이가 근소해서 헷갈리는 경우에는 혈의 지속 여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3~7일 정도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생리라고 판단하면 됩니다.

 

□ 착상혈과 생리의 차이

착상혈은 속옷에 묻어나는 몇 방울 정도이거나 소변볼 때 비치는 정도의 극소량 출혈이고, 핑크빛이나 갈색빛입니다. 반면, 생리는 붉거나 검붉은색 출혈이 3~7일 동안 계쏙되고 출혈량도 많습니다.

 

간혹 착상혈이 생리처럼 지속적으로 보였다거나 검붉은 빛이었다는 사례도 있지만, 임신 초기의 붉은혈은 좋지 않은 신호입니다. 착상혈 자체가 임산부와 태아에게 해로운 것은 아니지만 지속 기간이 길고 양이 많다면 유산이나 자궁외임신 확률도 있으니 병원 가서 상담 받아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