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

건설안전기사 필기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인간공학-3)

by instar_gram_logo 2020. 5. 19.

목차

    반응형

    청각적 표시장치

    □ 청각적 표시장치가 시각적인 것보다 효과가 있는 경우

    - 신호원 자체가 음일때

    - 무선기의 신호, 항로 정보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제시할때

    - 음성 통신 경로가 전부 사용되고 있을때

    □ 청각적 신호를 받는 경우 신호의 성질에 따라 수반되는 3가지 기능

    - 검출

    - 상대식별 : 2가지 이상의 신호가 근접하여 제시되었을때 구별

    - 절대 식별 : 특정한 신호가 단독 제시

    □ 경제 및 경보신호의 선택 또는 설계시의 설계지침

    - 500~3000Hz의 진동수 사용

    - 장거리 300m이상은 1000Hz 이하의 진동수 사용

    - 장애물 및 칸막이 통과시 500Hz 이하 진동수 사용

    - 주의를 끌기 위해서는 변조된 신호 사용

    □ 첨두삭제(의미확인)

    - 신호가 비선형 회로를 통과할 때 싱기는 변형을 진폭왜곡이라고 하며, 첨두삭제는 이 형태중 하나이다.

    □ 인간의 vigilance 현상에 영향을 끼치는 조건

    - 검출능력은 작업시작 후 빠른속도로 저하된다.(30분~40분 후)

    - 높은 신호일수록 검출률이 높다

    - 시간적인 여유가 있어야 한다

     

    동적인 촉각적표시장치

    □ 촉각적 통신에서 기계적 자극을 사용하는 방법

    - 피부에 진동기 부착

    - 증폭된 음성을 하나의 진동기를 사용

    □ 전기적 자극 : 통증을 주지 않은 정도의 진동전류 자극

     

    신체활동 및 생리적 배경

    □ 지구력 : 사람은 자기의 최대근력을 잠시 동안만 낼 수 있으며, 근력의 15%이하의 힘은 상당히 유지 가능

    - 최대근력의 50%힘은 약 1분간 유지

    - 최대근력의 15%이하의 힘은 상당히 오랜시간 유지

    □ 동작의 속도와 정확성

    - 반응시간
    - 단순반응시간 : 자극을 예상하고 있을때  0.15~0.2초

    - 자극이 가끔 일러나거나 예상하고 있지 않을때 0.1초 증가

    - 동작시간 = 총반응시간 = 단순반응시간 + 동작시간 = 0.2 + 0.3 = 0.5초

    □ 사정효과 : 짧거리는 지나치고 긴거리는 못미치는 경향, 과잉반응, 과소반응

    □ 진전(손떨림)을 감소시키는 방법

    - 시각적 참조

    - 몸과 작업에 관계되는 부위를 잘 받친다

    - 손이 심장 높이에 있을떄 손떨림이 적다

    - 작업 대상물에 기계적 마찰이 있을때

    - 손을 떨지 않으려고 노력하면 더 떨림

     

    조정장치 저항력

    □ 탄성저항 : 조종장치의 변위에 따라 변함

    □ 점성저항 : 출력과 반대방향으로 속도에 비례해서 작용하는 힘 때문에 생기는 저항력

    □ 관성 : 같은방향 계속 움직이려는, 질량 운동에 대한 저항

    □ 저지 및 미끄럼마찰 : 처음에 움직임에 대한 저항력 정마마찰, 미끄럼 마찰은 변위나 속도와 무관

     

    이력현상 및 사공간

    □ 이력현상 : 제어동작이 멈추면 체계반응이 거꾸로 돌아오는것, 반발의 악영향이 커진다

    □ 제어장치의 사공간 : 조종장치를 움직여도 피 제어요소에 변화가 없는 공간

     

    운동관계의 양립성

    □ 조종장치로 원형 또는 수평표시장치의 지침을 움직이는 경우

    □ 동침형 수직눈금의 경우 : 같은방향으로 움직임

    □ 정침동목형 표시장치 : 눈금과 손잡이가 같이 증가

     

     

     

    온도와 열 압박

    □ 열 교환

    - 열축적 = 대사열 - 증말 - 한일 +-복사 +-대류

    - 증발에 의한 열 손실률 = 37도 물 1g의 증발열은 2410J/g(575.7cal/g)

    환경요소의 복합지수

    - 실효온도 : 온도, 습도, 기류

    - Oxford 지수 : 습구, 건구온도의 가중 평균치 = 0.85 습구온도 + 0.15건구온도

     온도영향

    - 안정활동 18~21도

    - 갱내 작업장의 기온 상황 37도 이하

    - 체온의 안정한계와 최고한계온도 38~41도

    - 손가락에 영향을 주는 온도

    피로지수 : 직장온도는 가장 우수한 피로지수로서 38.8도만 되면 기진하게 된다.

    불쾌지수

    - 불쾌지수 산정식

    불쾌지수 = 섭씨(건구온도+습구온도)x0.72 + 40.6

    불쾌지수 = 화씨(건구온도+습구온도)x0.45+15

    - 불쾌지수구분

    70이하 모든 사람이 불쾌를 느끼지 않음

    70~75 2~30% 불쾌

    76~80 50% 불쾌

    80이상 모든 사람이 불쾌

     

    조명

    시식별에 영향을 주는 조건

    - 조도 / 광속발산도(휘도) / 반사율 / 광속 발산비 / 대비

    - 조도 : 물체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

    - 광속발산도 : 단위면적당 표면에서 반사 또는 방출되는 빛의 양

    - 반사율 : 옥내 최적 반사율

    - 광속 발산비 : 주어진 장소와 주위의 광속발산도의 비 보통 3 : 1

    - 대비 : 표적의 고아속발산도와 배경의 광속발산도의 차를 나타내는 척도 = Lb - Lt / Lb

    표적이 배경보다 어두울 경우

    표적이 배경보다 밝을 경우

     

    휘광의 처리

    광원으로부터의 직사휘광 처리

    - 휘도를 줄이고 수를 증가

    - 광원을 시선에서 멀리 위치

    - 휘광원 주위를 밝게 하여 광속발산비를 줄인다

    - 가리개, 갓, 혹은 차양을 사용

    창문으로부터 직사휘광 처리

    반사휘광 처리

    - 휘도를 줄임

    - 간접조명의 수준을 높임

    - 차양 등

    - 무광태도료, 윤기를 없앤 종이

     

    시각 및 색각

    시각 : 노화에 따라 가장 먼저 기능이 저하되는 감각기관

    시계의 범위 : 시계범위 200도, 색채 실벽할수 있는 시계의 범위 70도

    완전 암조응에 걸리는 시간 : 30 ~ 40분

    명조응에 걸리는 시간 : 수초 ~ 수분

    C.A.S : 색채조절, 공기조절, 음향조절의 3가지를 말하며 재해방지나 능률향상의 기본

    색광의 3가지 특성

    - 주파장

    - 포화도

    - 광속발산도

    색의 3속성 : 색상, 채도(강하고 약하고), 명도(밝고 어둡고)

     색채심리

    - 색감 : 적색(열정), 황색(희망, 주의, 경계), 녹색(안심, 안전, 편안), 청색(진정, 냉담, 소극)

    - 색채의 생물학적 작용

    적색 - 흥분작용, 환원작용

    청색 - 진정작용, 산화작용

    - 색채의 속도 : 명도가 높은 색채

    백색 - 황색 - 녹색 - 등색 - 자색 - 적색 - 청색 - 흑색

     

    소음

    음의 기본요소 : 음의 강도와 진동수 2가지로 구분 3요소(음의 고저, 음의 강약, 음조)

    음의 측정단위 : 음의 세기수준(강도수준)

    - 음의 강도는 음압의 제곱에 비례

    - 음의 강도는 거리제곱에 반비례

    - 음압은 거리의 반비례

    음의 크기의 수준

    - 음량수준 : 1000Hz 순음의 음압수준

    - 음량 : 1000Hz, 40dB의 음압수준을 가진 순음의 크기

    - 1sone = 40phon

    - 인식소음 수준

    PNdB : 910~1090

    PLdB : 3150에 중심 1/3옥타브

    은폐와 복합소음

    - 은폐현상 : 높은음과 낮은음(10dB 차이이상)

    - 복합소음 : 소음수준이 같은 2대 기계의 음이 합쳐지면 3dB 증가

    - 합성 소음도 

    소음의 허용한계

    - 가청주파수 : 20~2000Hz

    저진동범위 - 20~50Hz

    회화범위 - 500 ~ 2000Hz

    가청범위 - 2000 ~ 20000Hz

    불가청범위 - 20000Hz 이상

    - 가청한계 : 0dB ~ 134dB

    - 심리적 불쾌감 : 40dB이상

    - 난청 : 90dB 8시간

    - 유해주파수 : 4000Hz 난청현상이 오는 주파수

    음압과 허용노출한계

    90dB - 8시간 , 95dB - 4시간

    - 120dB이상 : 격리 또는 격벽설치

    소음대책 : 가장 적극적 소음대책 = 소음원제거

    - 소음원의 통제

    - 소음의 격리

    - 차폐장치 및 흡음재료 사용

    - 음향처리재 사용

    - 적절한 배치

    - 방음보호구 사용 : 귀마개

    - BGM 사용

     청력손실

    - 나이먹음 압박스트레스

    - 소음노출 수준이 증가 손실이 큼

    - 청력손실 4000Hz에서 크게 나타남

     

    진동 및 기동중의 착각

    전신 진동이 인간성능에 끼치는 영향

    - 진동은 시력을 손상 10~25Hz가 가장 심함

    - 진동은 추적능력을 손상 5Hz이하의 낮은 진도수에서 가장 심함

    - 근육조절 요하는 작업

    - 반응시간 / 감시 / 형태식별 등 주로 중앙신경처리 진동의 영향을 덜 받음

    Coriolis 현상

    현기중의 변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