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락이 나올 수 있는 과목입니다. 목표점수를 낮추되 평균점수를 너무 떨어뜨리지 않는 선에서 점수를 잡고 공부합시다. 다행히 실기에는 나오지 않는 과목입니다.

목재의 장, 단점
□ 장점
- 가벼움, 가공이 용이
- 강도와 탄성이 큼
- 열팽창율이 작고, 전기의 부도체
- 산성, 약품 등 염분 등에 저항력이 크다
- 종류가 많고, 외관이 다르며 아름답다.
- 충격, 진동, 소음을 잘 흡수
- 온도에 대한 신축이 크다
□ 단점
- 재질, 강도에 균일성이 없음
- 비틀림이 생길 수 있음
- 큰 치수를 구입이 곤란
- 착화점이 낮아 내화성이 적다
- 흡수성이 크며, 변형되기 쉽고, 부식이 쉽다
- 충해 풍해에 의한 내구성이 떨어짐
□ 목재의 취급단위
- 1자 = 10치 = 30.3cm
- 보드피트 bf = 144in^3
목재의 조직
□ 연륜(나이테)
□ 변재와 심재
- 변재 : 무름 / 표피 가까이 / 담색 / 수분을 많이 함유 / 수축 변형이 큼
- 심재 : 단단함 / 수심 가까이 / 암색 / 세포가 고화 / 수분이 적음 / 내구성이 큼
□ 목재의 세포(cell)
- 섬유 : 수목전체의 90~97%를 차지, 가늘고 김
- 도관 : 활엽수에만 있음, 변재에서 수액의 운반역할
- 수선 : 수심에서 사방으로 뻗어있는 수액을 수평이동
- 수지구 : 수지(송진)의 이동이나 저장을 하는 곳
목재의 성분
□ 목재의 원소 조성 : 탄소 50%(주성분, 유기물질), 산소 44%, 수소 6%
□ 목재의 성분 : 섬유소 50~60%, 리그닌 25~30%
결의종류에 따른 특성
□ 널결(판목) : 나이테에 평행방향으로 켠 목재면의 물결모양 나무결
- 신축이 균일하지 않고
- 곧은결보다 변형이크고, 마모율도 큼
- 제재가 쉽고 아름답다
□ 곧은결(정목) : 나이테의 직각방향으로 평행선상의 나무결
- 신축이 균일
- 널결에 비해 수축변형과 마모율이 적다
- 마무리가 쉽고 널리 사용
목재의 비중
□ 기건비중 : 공기중에서 건조 0.3 ~ 0.9
□ 진비중(실비중) : 공극 미포함 실제부분의 비중 1.54 ~ 1.56
□ 절대건조비중(절건비중) : 수분을 완전히 제거상태 100 ~ 110도
□ 공극율과 비중과의 관계식
공극률 = 1 - (절건비중 / 1.54) x 100(%)
함수율
□ 기건재의 함수율 : 공기중에 건조 12 ~ 18% 평균 15%
□ 섬유 포화점 : 섬유자신의 함수율 25 ~ 30% 보통 30%경우
- 함수율 30% 이상은 강도가 같음
□ 함수율에 의한 목재 재질의 변화
-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 상태에서만 변동이 발생
- 변재는 심재보다 수축이 크고, 활엽수가 침엽수보다 수축이 크다.
- 섬유 포화점 이하에서 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강도는 증가하고 탄성은 감소한다.
□ 벌채직후 생채의 함수율
- 심재 40 ~ 100%, 변재 80 ~ 200%
열에 의한 성질
□ 목재는 열전도율 및 열 팽창율이 극히 낮다
□ 내화성이 낮다
□ 목재의 연소성
- 100도 : 수분 증발
- 180도 전후 : 열분해 의해 가연성 가스 발생
- 260~270도 : 목재에 불이 붙음(착화점, 화재위험온도)
- 400~450도 : 화기 없이 자연 발화(발화점)
목재의 강도
□ 목재의 강도
- 목재강도의 크기 순서 : 인장강도 > 휨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 휨강도는 압축강도의 1.75배
- 전단강도는 세로방향 인장강도의 1/10정도
□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비중 : 비중이 클수록 강도가 크다
- 함수율 : 함수율과 강도는 반비례
- 홈 : 홈은 강도가 떨어진다
- 목재수종 : 목재수종에 따라 강도가 큰 것이 있고 작은 것이 있다
□ 목재를 인장재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
- 옹이와 마디
- 나이테와 접선방향 인장강도가 작다
- 목재의 이음이 어려움
- 섬유의 변형
□ 목재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원인
- 균류 / 풍화작용 / 곤충류에 의한 충해 / 연소에 의한 화재
목재의 방부법
□ 표면탄화법 : 표면을 3~10mm 태움, 방부효과는 1,2번
□ 방부제 사용법
- 도포법
- 주입법 : 가압주입법(가장높음) / 상압주입법
- 침자법 : 담구는법
- 생리적 주입법 : 뿌리에 주입
□ 방부제의 종류
- 수용성 방부제 : 황산동 1% / 불화소다 2% / 염화아연 4% / 염화제2수은 1%
- 유성방부제 : 코올타르 및 아스팔트 / 크레오소트유 / 페인트
- PCP : 방부제 중 방부력이 가장 우수 / 열이나 약재에도 안정 / 페인트 가능
목재의 건조
□ 목재의 건조목적
- 수축 균열 변형 방지
- 변색 부패방지
- 강도와 내구성 증진
- 방부재 주입용이
- 열전도성 개선 및 전기 절연성 증가
□ 건조전의 처리법
- 수침법 : 2주 이상 흐르는 물에 담굼
- 자비법 : 열탕에 삶기
- 증기법 : 찜
□ 인공건조방법
목재 제품
□ 합판
- 3매이상의 얇은판을 1매마다 섬유바향에 직교(홀수)
- 잘 갈라지지 않고 방향에 따른 강도의 차가 적다
- 판재에 비해 균질
- 큰판 및 곡면판을 만들 수 있음
- 무늬가 좋은 판을 얻을 수 있음
□ 집성목재
- 판을 섬유방향에 평행하도록 붙임
- 판이 홀수가 아니어도 됨
- 합판과 같은 얇은 판이 아니고, 보나 기둥에 사용할 수 있음
- 목재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 / 건조균열 및 변형등을 피할수 있음
□ 마루판류 : 무늬가 아름다운 나무사용
- 플로링보드 / 플로링블록 / 쪽매널 / 파키트리 보드 / 파키트리 패널 / 패키트리 블록
- 두께는 비교적 자유로이 선택, 표면이 평활하고 경도가 큼
- 가공성이 양호 방충, 방부성이 큼
□ 파티클보드
- 칩보드 : 작은 나무조각을 접착제를 이용 압축, 열압
- 두께는 비교적 자유로이 선택
- 강도에 방향성이 없음
- 방충 방부성이 큼
□ 코펜하겐 리브판
- 면적이 넓은 강당, 집회장, 극장, 천장 또는 내벽에 붙여 음향 조절, 수장제로 사용
'자격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필기 - 건설재료학(석재 및 점토) (0) | 2020.05.21 |
---|---|
건설안전기사 필기 - 건설재료학(시멘트 및 콘크리트) (0) | 2020.05.20 |
건설안전기사 필기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시스템 안정공학) (0) | 2020.05.19 |
건설안전기사 필기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인간공학-3) (1) | 2020.05.19 |
건설안전기사 필기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인간공학-1)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