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공법 선택시 고려사항 4가지

→ 해체 구조물의 구조

→ 해체 대상물의 부재단면 및 높이

→ 부지 내 작업용 공지

→ 부지 주변의 도로상황 및 환경

 

■ 해체공법 5가지

→ 화염공법

→ 화약발파공법

→ 절단공법

→ 철해머공법

대형 브레카공법

 

■ 감전시 위험요소

통전전류의 크기

→ 통전 경로

→ 통전 시간

→ 전원의 종류

 

■ 근로자의 정기안전보건교육 중 교육내용 5가지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공통)

→ 유해, 위험 작업 환경관리 (공통)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 (공통)

산업안전 및 사고예방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 A(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등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

화재 등으로 A의 내력이 심하게 저하된 경우

지진, 동해, 부동침하 등으로 A에 균열, 비틀림이 발생한 경우

인근에서 굴착, 항타 작업등으로 A에 침하, 균열등이 발생, 붕괴의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

 

■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시 시작전 점검사항

권과방지장치경보장치 기능

브레이크, 클러치조정장치

와이어 로프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 안전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한것

→ 계단, 통로, 비계에 추가로 설치하는 안전난간

작업장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기원제

 

■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보고사항 2가지와 보고시점

발생개요피해 상황

조치 및 전망

지체없이 보고해야한다.

 

■ 산업안전보건법상 양중기의 종류 4가지

이동식 크레인

→ 곤돌라

→ 크레인(호이스트포함)

승강기(최대하중 0.25톤 이상)

 

■ 기상상태 불아전 작업중지 후, 비계에서 작업을 재개할때 점검사항 4가지

손잡이의 탈락여부

→ 로프의 부착상태와 매단장치의 흔들림

→ 연결재료 및 연결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상태

→ 해당비계의 연결부 또는 접속부의 풀림상태

 

 

■ 다음 조직의 장단점

→ 라인형

장점 : 명령계통이 간단, 명료하다. / 단점 : 안전정보 및 신기술 개발이 어렵다.

→ 라인,스탭형

장점 : 안전지시 및 전달이 신속, 정확하다 / 단점 : 명령계통과 지도 및 권고적 참여혼동되기 쉽다.

 

■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 위험방지 조치 3가지

출입금지구역으로 설정

보호구의 착용

낙하물 방지망, 수직 보호망의 설치

 

■ 비계의 조립간격

달관비계 : 수직방향 - 5m  / 수평방향 - 5m

 틀  비계 : 수직방향 - 6m / 수평방향 - 8m

 

■ 보일링 현상에 대해 쓰시오

지하수위가 높은 사질토에서

→ 굴착부 저면에 액상화 / 굴착면 배면토의 수두차 때문에 삼투압 발생

작업을 중지시킨다. / 흙막이벽을 설치 지하수위 흐름을 막는다. / 지하수위를 낮춘다.

 

■ 건설업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 대상

연면적 5000m^2 이상

50m이상교량건설

10m 이상굴착공사

2천만톤이상 용수전용, 지방상수도 전용댐 건설

 

반응형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