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humbnail image](https://blog.kakaocdn.net/dn/bWDHRx/btqFcNWjuDn/hcpGz5kpoyyd9ckn5F2rzK/img.jpg)
■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공법 선택시 고려사항 4가지
→ 해체 구조물의 구조
→ 해체 대상물의 부재단면 및 높이
→ 부지 내 작업용 공지
→ 부지 주변의 도로상황 및 환경
■ 해체공법 5가지
→ 화염공법
→ 화약발파공법
→ 절단공법
→ 철해머공법
→ 대형 브레카공법
■ 감전시 위험요소
→ 통전전류의 크기
→ 통전 경로
→ 통전 시간
→ 전원의 종류
■ 근로자의 정기안전보건교육 중 교육내용 5가지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공통)
→ 유해, 위험 작업 환경관리 (공통)
→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 (공통)
→ 산업안전 및 사고예방
→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 A(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등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
→ 화재 등으로 A의 내력이 심하게 저하된 경우
→ 지진, 동해, 부동침하 등으로 A에 균열, 비틀림이 발생한 경우
→ 인근에서 굴착, 항타 작업등으로 A에 침하, 균열등이 발생, 붕괴의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
■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시 시작전 점검사항
→ 권과방지장치와 경보장치 기능
→ 브레이크, 클러치 및 조정장치
→ 와이어 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 안전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한것
→ 계단, 통로, 비계에 추가로 설치하는 안전난간
→ 작업장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기원제
■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보고사항 2가지와 보고시점
→ 발생개요 및 피해 상황
→ 조치 및 전망
→ 지체없이 보고해야한다.
■ 산업안전보건법상 양중기의 종류 4가지
→ 이동식 크레인
→ 곤돌라
→ 크레인(호이스트포함)
→ 승강기(최대하중 0.25톤 이상)
■ 기상상태 불아전 작업중지 후, 비계에서 작업을 재개할때 점검사항 4가지
→ 손잡이의 탈락여부
→ 로프의 부착상태와 매단장치의 흔들림
→ 연결재료 및 연결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상태
→ 해당비계의 연결부 또는 접속부의 풀림상태
■ 다음 조직의 장단점
→ 라인형
장점 : 명령계통이 간단, 명료하다. / 단점 : 안전정보 및 신기술 개발이 어렵다.
→ 라인,스탭형
장점 : 안전지시 및 전달이 신속, 정확하다 / 단점 : 명령계통과 지도 및 권고적 참여가 혼동되기 쉽다.
■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 위험방지 조치 3가지
→ 출입금지구역으로 설정
→ 보호구의 착용
→ 낙하물 방지망, 수직 보호망의 설치
■ 비계의 조립간격
달관비계 : 수직방향 - 5m / 수평방향 - 5m
틀 비계 : 수직방향 - 6m / 수평방향 - 8m
■ 보일링 현상에 대해 쓰시오
→ 지하수위가 높은 사질토에서
→ 굴착부 저면에 액상화 / 굴착면 배면토의 수두차 때문에 삼투압 발생
→ 작업을 중지시킨다. / 흙막이벽을 설치 지하수위 흐름을 막는다. / 지하수위를 낮춘다.
■ 건설업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 대상
→ 연면적 5000m^2 이상
→ 50m이상의 교량건설
→ 10m 이상의 굴착공사
→ 2천만톤이상 용수전용, 지방상수도 전용댐 건설
'자격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 필답형 요점정리 기출문제정리(3) (0) | 2020.07.02 |
---|---|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 필답형 요점정리 기출문제정리(2) (0) | 2020.06.30 |
건설안전기사 실기 이론정리 (인간관리론) (0) | 2020.06.22 |
건설안전기사 실기공부 시작 전 확인사항 (0) | 2020.06.18 |
건설안전기사 필기 시험 가채점 합격 후기 2020년 1회차 2회차 통합 (0) | 202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