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소모량의 산출
□ 에너지 대사율
- R M R = 작업대사량 / 기초대사량 = (작업시소비에너지 - 안정시소비에너지) / 기초대사량
- 기초대사량(1500~1800) = 체표면적 x 체표면적당 시간당 소비 에너지
□ 산소소비량 및 기초대사량
- 기초대사와 여가에 필요한 대사량 : 2300
- 여가관련 대사량 500~800
□ 작업강도 구분(RMR)
- 0 ~ 2 : 가벼운작업
- 2 ~ 4 : 보통작업
- 4 ~ 7 : 힘든작업
- 7 ~ : 매우힘든작업
작업공간 및 작업대
□ 작업공간 포락면 : 한장소에 앉아서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공간
□ 작업역
- 정상작업역 : 윗팔을 자연스럽게 몸에 붙인채로 아랫팔을 움직여서 도달하는 영역(34~45cm)
- 최대작업역 : 팔을 쭉 뻗어 파악하는 최대 영역(55~65cm)
□ 작업대
- 어깨 중심선과 작업대 간격 : 19cm
- 입식 작업대 높이 : 팔꿈치 높이보다 5 ~ 10cm 정도 낮다 (경작업 : 5 ~ 10 낮게 / 중작업 : 10 ~ 20 낮게 / 정밀작업 : 5~10 높게)
□ 의자 설계원칙
- 체중분포 : 체중이 좌골 결절에 실려야 편안
- 의자 좌판의 높이 : 좌판 앞부분이 오금의 높이보다 높지 않다
- 의자 좌판의 깊이와 폭 : 폭은 큰사람에게, 깊이는 작은 사람에게 맞도록한다.
- 몸토으이 안정 : 좌판 각도는 3도, 좌판 등판 간의 등판 각도는 100도가 효과적
□ 부품 배치의 4원칙
- 중요성의 원칙 (일반적 위치를 정함)
- 사용빈도의 원칙 (일반적 위치를 정함)
- 기능별 배치의 원칙
- 사용순서의 원칙
□ 작업장 설계시 배치 우선순위
시각적 - 주조종장치 - 조정장치와 표시장치간의 관계 -
기계 통제장치의 유형
□ 양의 조절에 의한 통제 : 연속조절(knob, crank, handle, lever, pedall 등)
□ 개폐에 의한 통제 : 불연속 조절(수동식 푸시버튼, 발 푸시버튼, 토글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 반응에 의한 통제 : 자동경보시스템
통제기기의 설정조건
□ 통제기기의 조작력이 적게 소요되는 경우의 설정조건
- 2개소의 불연속 세팅
- 3개소의 불연속 세팅의 경우
-
-
-
통제 표시비(통제비)
□ 통제표시비 : 통제기기와 표시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비율, 조종반응비율 C/D = C/R
- 통제기기의 변위량 / 표시계기의 지침의 변위량
□ 조종구에서의 C/D
- 계산문제
□ 통제비 설계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
- 계기의 크기
- 공차
- 방향성
- 조작시간
- 목측거리
□ 최적의 C/D 비
- 통제표시비가 감소함에 따라 이동시간은 급격히 감소하다가 안정되며, 조정시간은 이와 반대의 형태를 갖는다.
- 최적의 C/D 비 = 1.18 ~ 2.42
인간의 특정감각을 통하여 환경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자극차원
□ 시각적 식별 : 형태 구성, 크기, 위치, 색
□ 청각적 식별 : 진동수나 강도(달팽이관 소리)
인간이거의 정보량
□ 정보의 측정단위 및 관계식
- bit의 정의 : 실현가능성이 같은 2개의 대안 중 하나가 명시되었을 떄 얻는 정보량
- 대안의 수가 n일 때 총 정보량
- 대안의 실현확률(n의 역수)이 p일 경우(대안의 출현 기능성이 동일하지 않을때)
- 확률이 다른 일련의 사건이 가지는 평균 정보량
□ 경로 용량 및 전달된 정보량
- channel capacity : 절대식별에 근거
- 전달된 정보량 : 자극의 불확실성과 반응의 불확실성의 중복부분을 나타낸다.
표시장치로 나타내는 정보의 유형 및 표시장치의 종류
□ 표시장치에 의한 정보의 유형
- 표시장치에 의한 정보의 유형
정량적 / 정성적 / 상태 / 묘사적정보 / 경계 및 신호 정보 / 식벼 / 시차적 / 문자나 숫자의 부호정보
□ 표시장치의 유형
- 정적표시장치 /동적표시장치(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는 온도계류)
청각장치와 시각장치의 선택(특정감각의선택)
□ 청각장치 사용
전언이 간단하고 짧다 / 재참조 되지 않음 / 즉각적 / 시각계통이 과부하 상태일때 / 수신장소 너무 밝거나 어두울때 / 수신자가 자주 움직일때
□ 시각장치 사용
전인이 복잡 / 재참조 / 즉각적인 행동 요구되지 않음 / 수신인장소가 시끄렁루떄 / 수신자가 한곳에 머무는경우
암호체계의 사용상의 일반적임 지침
□ 암호의 검출성 / 변별성 / 양립성 / 부호의 의미 / 암호의 표준화 / 다차원 암호의 사용
속도압박과 부하압박
□ 속도압박 : 작업자 편에서의 속도 압박은 표시장치의 물리적 특성으로부터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그런 성능 이하로 작업성능을 저하
□ 부하 압박
□ 신호들 간의 시간차
- 신호간 간격이 0.5초보다 짧으면 혼동하기 쉬움
다중감각입력 및 신호 검출이론
□ 다중감각입력
- 시배분 : 정보가 여러 근원으로부터
- 감각경로의 중복사용 : 최소간격의 시간 순으로 전송
- 잡음 : 바람직하지 않는 필요없는 자극
□ 신호거물이론(TSD)
- 시각 청각 및 기타 잡음이 자극 검출에 끼치는 영향은 신호검출이론을 따르도록 함
- 신호검출이론의 의의
잡음에 실린 신호의 분포는 잡음만의 분포와는 뚜렷이 구분되어야 함, 어느정도의 중첩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허위정보와 신호의 검출하지 못하는 과오 중
□ 신호에 대한 인간의 4가지 판정결과(의미파악)
- 긍정 / 누락 / 허위경보 / 부정
인간의 기술
□ 전신적 기술 : 보행, 균형
□ 조작적 기술 : 연속적, 수차적, 이산적
□ 인식적 기술
□ 언어 기술 : 의사소통, 수학, 은유 여러가지 표현방식
모량의 산출
□ 에너지 대사율
- R M R = 작업대사량 / 기초대사량 = (작업시소비에너지 - 안정시소비에너지) / 기초대사량
- 기초대사량(1500~1800) = 체표면적 x 체표면적당 시간당 소비 에너지
□ 산소소비량 및 기초대사량
- 기초대사와 여가에 필요한 대사량 : 2300
- 여가관련 대사량 500~800
□ 작업강도 구분(RMR)
- 0 ~ 2 : 가벼운작업
- 2 ~ 4 : 보통작업
- 4 ~ 7 : 힘든작업
- 7 ~ : 매우힘든작업
작업공간 및 작업대
□ 작업공간 포락면 : 한장소에 앉아서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공간
□ 작업역
- 정상작업역 : 윗팔을 자연스럽게 몸에 붙인채로 아랫팔을 움직여서 도달하는 영역(34~45cm)
- 최대작업역 : 팔을 쭉 뻗어 파악하는 최대 영역(55~65cm)
□ 작업대
- 어깨 중심선과 작업대 간격 : 19cm
- 입식 작업대 높이 : 팔꿈치 높이보다 5 ~ 10cm 정도 낮다 (경작업 : 5 ~ 10 낮게 / 중작업 : 10 ~ 20 낮게 / 정밀작업 : 5~10 높게)
□ 의자 설계원칙
- 체중분포 : 체중이 좌골 결절에 실려야 편안
- 의자 좌판의 높이 : 좌판 앞부분이 오금의 높이보다 높지 않다
- 의자 좌판의 깊이와 폭 : 폭은 큰사람에게, 깊이는 작은 사람에게 맞도록한다.
- 몸토으이 안정 : 좌판 각도는 3도, 좌판 등판 간의 등판 각도는 100도가 효과적
□ 부품 배치의 4원칙
- 중요성의 원칙 (일반적 위치를 정함)
- 사용빈도의 원칙 (일반적 위치를 정함)
- 기능별 배치의 원칙
- 사용순서의 원칙
□ 작업장 설계시 배치 우선순위
시각적 - 주조종장치 - 조정장치와 표시장치간의 관계 -
기계 통제장치의 유형
□ 양의 조절에 의한 통제 : 연속조절(knob, crank, handle, lever, pedall 등)
□ 개폐에 의한 통제 : 불연속 조절(수동식 푸시버튼, 발 푸시버튼, 토글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 반응에 의한 통제 : 자동경보시스템
통제기기의 설정조건
□ 통제기기의 조작력이 적게 소요되는 경우의 설정조건
- 2개소의 불연속 세팅
- 3개소의 불연속 세팅의 경우
-
-
-
통제 표시비(통제비)
□ 통제표시비 : 통제기기와 표시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비율, 조종반응비율 C/D = C/R
- 통제기기의 변위량 / 표시계기의 지침의 변위량
□ 조종구에서의 C/D
- 계산문제
□ 통제비 설계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
- 계기의 크기
- 공차
- 방향성
- 조작시간
- 목측거리
□ 최적의 C/D 비
- 통제표시비가 감소함에 따라 이동시간은 급격히 감소하다가 안정되며, 조정시간은 이와 반대의 형태를 갖는다.
- 최적의 C/D 비 = 1.18 ~ 2.42
인간의 특정감각을 통하여 환경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자극차원
□ 시각적 식별 : 형태 구성, 크기, 위치, 색
□ 청각적 식별 : 진동수나 강도(달팽이관 소리)
인간이거의 정보량
□ 정보의 측정단위 및 관계식
- bit의 정의 : 실현가능성이 같은 2개의 대안 중 하나가 명시되었을 떄 얻는 정보량
- 대안의 수가 n일 때 총 정보량
- 대안의 실현확률(n의 역수)이 p일 경우(대안의 출현 기능성이 동일하지 않을때)
- 확률이 다른 일련의 사건이 가지는 평균 정보량
□ 경로 용량 및 전달된 정보량
- channel capacity : 절대식별에 근거
- 전달된 정보량 : 자극의 불확실성과 반응의 불확실성의 중복부분을 나타낸다.
표시장치로 나타내는 정보의 유형 및 표시장치의 종류
□ 표시장치에 의한 정보의 유형
- 표시장치에 의한 정보의 유형
정량적 / 정성적 / 상태 / 묘사적정보 / 경계 및 신호 정보 / 식벼 / 시차적 / 문자나 숫자의 부호정보
□ 표시장치의 유형
- 정적표시장치 /동적표시장치(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는 온도계류)
청각장치와 시각장치의 선택(특정감각의선택)
□ 청각장치 사용
전언이 간단하고 짧다 / 재참조 되지 않음 / 즉각적 / 시각계통이 과부하 상태일때 / 수신장소 너무 밝거나 어두울때 / 수신자가 자주 움직일때
□ 시각장치 사용
전인이 복잡 / 재참조 / 즉각적인 행동 요구되지 않음 / 수신인장소가 시끄렁루떄 / 수신자가 한곳에 머무는경우
암호체계의 사용상의 일반적임 지침
□ 암호의 검출성 / 변별성 / 양립성 / 부호의 의미 / 암호의 표준화 / 다차원 암호의 사용
속도압박과 부하압박
□ 속도압박 : 작업자 편에서의 속도 압박은 표시장치의 물리적 특성으로부터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그런 성능 이하로 작업성능을 저하
□ 부하 압박
□ 신호들 간의 시간차
- 신호간 간격이 0.5초보다 짧으면 혼동하기 쉬움
다중감각입력 및 신호 검출이론
□ 다중감각입력
- 시배분 : 정보가 여러 근원으로부터
- 감각경로의 중복사용 : 최소간격의 시간 순으로 전송
- 잡음 : 바람직하지 않는 필요없는 자극
□ 신호거물이론(TSD)
- 시각 청각 및 기타 잡음이 자극 검출에 끼치는 영향은 신호검출이론을 따르도록 함
- 신호검출이론의 의의
잡음에 실린 신호의 분포는 잡음만의 분포와는 뚜렷이 구분되어야 함, 어느정도의 중첩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허위정보와 신호의 검출하지 못하는 과오 중
□ 신호에 대한 인간의 4가지 판정결과(의미파악)
- 긍정 / 누락 / 허위경보 / 부정
인간의 기술
□ 전신적 기술 : 보행, 균형
□ 조작적 기술 : 연속적, 수차적, 이산적
□ 인식적 기술
□ 언어 기술 : 의사소통, 수학, 은유 여러가지 표현방식
양립성
□ 정보입력 및 처리와 관련한 양립성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자극
□ 공간적 양립성
□ 운동 양립성
□ 개념적 양립성 : 뜨거운물 빨간색, 차가운물 파란색
□ 양식 양립성
디스플레이가 형성하는 목시각
□ 수평 : 15도 좌우, 제한조건 95도
□ 수직 : 0~30도 좌우, 제한조건 상한 75도, 하한 85도
□ 정상적업 위치에서 모든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한 조업자 시계 : 60~90도
시각적 표시장치
□ 정량적 동적 표시장치의 기본형
- 정목동침형 : 눈금이 고정 지침이 움직임
- 정침동목형 : 지침이 고정 눈금이 움직임
- 계수형 : 택시요금계 전자적 숫자표시
□ 지침의 설계요령
- 선각이 약 20도 정도가 되는 뾰족한 지침
- 지침의 끝은 작은 눈금과 맞닿되, 겹쳐지지 않는다
- 우너형눈금의 경우 선단에서 눈금의 중심
- 시차를 없애기 위해 지침은 눈금 면과 밀착
□ 신호 및 경보 등의 빛의 검출성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
- 광원의 크기
- 광속 발산도 및 노출시간
- 색광
- 점멸속도
- 배경광
□ 신호 및 경보 등의 점멸속도
- 초당 3 ~ 10회 점멸속도, 지속시간은 0.05초이상
□ VFF에 영향을 주는 변수
- 휘도만 같으면 색은 VFF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암조용 때는 VFF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연습의 효과는 적음
□ 비행자세 표시 자치 설계의 제 원칙
- 표시장치 통합의 원칙
- 회화적 사실성의 원칙
- 이동 부분의 원칙
- 추종 추적의 원칙
- 빈도 분리의 원칙
- 최적 축적의 원칙
□ 문자 - 숫자 및 관련 표시장치
- 획폭비 : 문자나 숫자의 높이에 대한 획 굵기비, 흰숫자(검은바탕) 1:13.3 / 검은숫자(흰바탕) 1:8
- 광삼 : 흰모양이 주위의 검은 배경으로 번져보이는 현상
- 종횡비(문자 숫자의 폭 : 높이) : 1:1의 비가 적당하며, 3:5까지는 독해성에 영향이 없고, 숫자의 경우 3:5가 표준
□ 시각적 암호, 부호 및 기호의 유형
- 묘사적 부호 : 사물의 행동을 단순하고 정확하게 묘사(위험표지판 해골)
- 추상적 부호 : 전언의 기본 요소를 도시적으로 압축
- 임의적 부호 : 이미 고안되어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부호(사각형-안내, 원형-규제, 삼각형-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