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실기 이론정리 (인간관리론)
2020. 6. 22. 20:55
자격증정보
■ 조직의 유형 3가지 1. 직계형 / 라인형 2. 참모형 / 스탭형 3. 직계-참모 혼합형 / 라인-스탭형 ■ 조직 유형별 특징 1. 라인형 = 생산과 안전 동시, 간단명료, 상하관계, 지식부족, 정보 불충분, 과중한 책임부여 2. 스탭형 = 3. 라인-스탭형 = 라인형과 스탭형의 장점을 결합 ■ 안전관리조직의 업무, 직무 -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내용 = 위원회 심의 의결사항 근로자의 안전, 보건 교육 / 산업재해 예방 계획의 수립 / 안전보건 관리 규정의 작성 및 변경 - 안전관리자의 업무내용 위험성 평가에 관한 보좌 및 조언, 지도 /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 / 구입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조언
건설안전기사 실기공부 시작 전 확인사항
2020. 6. 18. 22:21
자격증정보
건설안전기사 실기는 두가지로 나눠진다. ▶ 필답형 문항수 = 13 + 1문항, 13 - 1문항 점수 = 60점 ▶ 작업형 문항수 = 8문항 점수 = 40점 ▶ 합격기준 필답형 + 작업형 = 60점이상 ※ 두가지 중 한가지만 응시해서 60점 이상은 불합격 ▶출제기준 - 안전관리론(심리, 교육) - 인강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 건설공사안전 = 가설공사(비계, 토목, 계단) / 토공사(굴착, 터널) / 구조물공사(철근콘크리트, 철골공사) - 건설기계, 기구 = 차량계 건설계(15가지), 차량계 하역운반계, 양중기(5가지) - 사고형태별 안전 = 추락, 낙하, 비계, 전도, 협착, 붕괴 등 - 안전기준(법) 이상적인 계획은 30점 + 30점. 하지만 아직 시간여유가 있고, 필기시험에서 공부했던게 있으니 필답형..
건설안전기사 필기 시험 가채점 합격 후기 2020년 1회차 2회차 통합
2020. 6. 10. 21:55
자격증정보
6월 7일 건설안전기사 시험을 응시했다. 필기 공부를 하면서 과목마다 글을 쓰면서 정리했는데, 정리한 이후 기출문제를 푸는 동안에는 글을 작성하지 않았다. 강의를 듣고 나서 기출문제에 전념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국가고시 자격증 시험 준비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다. 그래서 이렇게 공부하면 무조건 합격할 수 있다고 단정 지어 이야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어디까지나 필기시험을 공부하고 가채점 결과 합격한 후기를 적어 보려고 한다. 물론 아직 실기 시험이 남아 있다. 나중에 누군가가 건설안전기사 시험을 준비할 때 내가 쓴 글들과 공부한 내용을 보고 도움이 된다고 하면 그것도 기쁜 일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6과목 평균이 65점을 넘겼다. 그리고 2020년 시험은 기존 과년도에 비해 어렵게 나왔다고 생각..
건설안전기사 필기 - 건설기술안전(건설재해 및 대책)
2020. 5. 23. 15:53
자격증정보
추락재해 □ 추락재해의 형태에 의한 발생원인 - 난간이 없을때 / 발판이 좁을때 / 비계에 매달려 올라갔을때 / 비계와 구조체 사이의 연결로가 불비할 경우/ 나간을 제거한 채 작업 / 외줄비계에서 안전대를 사용하지 않았을때 / 비계발판의 고정이 나쁘고 어긋 - 작업대 끝 및 개구부로 추락 - 슬레이트 지붕에서 추락 □ 추락재해의 위험성 및 안전조치 - 추락하거나 넘어질 우려가 있는 장소 -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 등의 추락재해 추락방망 / 덮개 설치 / 추락방호망 / 안전대 / 개구부 표시 - 슬레이트 등 지붕위에서의 위험방지 조치 폭 30cm 이상의 발판 / 방망설치 -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 기타추락재해 방지 조치사항 높이 2m이상 장소 / 승강설비 설치 높이 2m / 울타리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