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제일의 유래 및 이념
1. 안전제일의 유래
1) U.S.Steel Co.의 게리 사장이 주장
2) 경영방침 : 1-안전, 2-생산, 3-생산
2. 안전제일 이념 : 인도주의가 바탕이 된 인간존중
3. 산업안전의 이념(안전관리의 효과)
1) 인간존중 : 안전제일 이념
2) 생산성 향상 및 품질향상 : 안전태도 개선 및 손실예방
3) 기업의 경제적 손실예방 : 재해로 인한 인적, 재산 손실예방
4) 대외여론 개선으로 신뢰성 향상 : 노사협력의 경영태세 완성
5) 사회복지증진 : 경제성 향상
사고의 정의
1. 원하지 않는 사상 : 예측할 수 없는 사상
2. 비효율적인 사상 : 뉴욕대학의 Cutter 교수가 주장 (비능률적)
3. 변형된 사상 : Stress의 한계를 넘어선 변형된 사상은 모두 사고다.
안전사고와 재해
1. 안전사고 : 고의성이 없는 어떤 불안전한 행동이나 조건이 선행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말한다.
2. 재해 : 안전사고의 결과로 일어난 인명 피해 및 재산의 손실을 말한다.
- 인적손실과 물적손실이 없는 경우는 사고, 손실이 있는 경우에는 재해라고 한다.
3. 무상해 무사고(Near Accident) : 인명이나 물적 등 일체의 피해가 없는 사고를 말한다.(앗차사고, 위험순간)
4.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산업재해 정의
-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자재,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이환되는 것을 말한다. (사망자 1명이상, 부상 또는 질병으로 3일이상 요양할 경우)
5. 중대재해
1) 사망자가 1명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참고
안전사고의 본질적 특성
(사고발생의 시간성), (우연성 중의 법칙성), (필연성 중의 우연성), (사고의 재현 불가능)
산업재해의 분류
1. 상해정도별 분류-ILO(국제노동기구)에 의한 구분
- 사망
- 영구 전 노동불능(1~3급)
- 영구 일부 노동불능(4~14급)
- 일시 전 노동불능(휴업상해)
- 일시 일부 노동불능
- 구급처치상해(응급조치상해)
2. 상해종류(인체 질병)에 의한 분류 (용어정리)
3. 재해 형태별(사고유형) 분류 (용어정리)
'자격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필기 - 산업안전관리론 정리(재해조사 및 통계분석) (0) | 2020.05.06 |
---|---|
건설안전기사 필기 - 산업안전관리론 정리(안전관리 체계 및 운영) (0) | 2020.05.04 |
수족냉증 예방법 (0) | 2020.04.22 |
환절기 보습유지방법 (0) | 2020.04.22 |
건설안전기사 기본정보 공부시작전 정리 (0) | 2020.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