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humbnail image](https://blog.kakaocdn.net/dn/beYzTM/btqDUS4UuxA/L04ggEranyxbmnW0dxf0C1/img.png)
재해조사의 목적 및 순서
□ 재해조사의 목적 : 재발방지
□ 재해조사의 순서(참고)
재해발생시 조치사항
□ 재해발생
긴급처리 - 재해조사 - 원인강구 - 대책수립 - 대책실시계획 - 실시 - 평가
□ 긴급처리순서(5가지)
-
재해발생의 메카니즘
□ 재해원인분석
관리상의결함(간접) - 불안전한상태, 불안전한행동(직접) - 기인물, 가해물 + 사람 - 재해
□ 사고의 형(사고유형)
- 물체가 사람에 직접 접촉한 현상
- 사람이 유해 환경 하에 폭로된 현상
□ 기인물과 가해물
- 기인물 : 불안정한 상태의 물체
- 가해물 : 직접 사람에게 접촉되어 가한 물체
불안전한 행동별 원인
□ 작업표준 미작성
□ 작업과 안전 작업표준에 상이
□ 안전 작업표준의 결함
□ 안전 작업표준의 몰이해
□ 안전 작업표준의 불이행
통계적 원인 분석 방법
□ 파렛토도 : 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
□ 특성 요인도 : 특성과 요인 관계를 도표로 어골상으로 세분화
□ 크로스 분석 : 데이터 집계 표로 표시, 요인별 결과 내역을 크로스 그림을 작성하여 분석
□ 관리도 : 재해발생 건수 등의 추이 파악, 우러별 재해 발생수를 그래프화하여 관리선 설정
재해율
□ 연천인율 : 근로자 천명당 1년간 발생하는 사상자수
□ 도수율 : 백만시간당 재해발생건수
□ 연천인율과 도수율과의 관계
- 연천인율 = 도수율 x 2.4
□강도율 : 천시간당 근로손실일수
- 재해의 경중, 재해의 질
□ 근로손실일수의 산정기준(국제기준)
- 일시전노동불능 : 휴업일수 x 300 / 365
□ 환산 도수율 및 환산 강도율
- 입사에서 퇴직할 때까지 평생 동안 40년 기준 근로시간인 10만시간당 재해건수를 환산 도수율이라 한다.
- 환산 도수율 = 도수율 / 10
- 10만시간당 근로 손실일수를 환산 강도율이라 한다.
- 환산 강도율 = 강도율 x 100
□ 종합재해지수(도수강도치)
- 도수강도치 = √ 도수율 x 강도율
세이프 티 스코어
□ 세이프 티 스코어
- (현재 빈도율 - 과거 빈도율) / (√가거 빈도율 / 근로총시간수 x 백만)
- 계산결과 + 이면 나쁜기록 - 이면 과거에 비해 좋은 기록
□ 판정기준
- +2.0 과거보다 심각하게 나빠짐
- +2.0~-2.0 삼각한 차이 없음
- -2.0 이하 과거보다 좋아짐
재해손실비
□ 하인리히 방식
- 총재해 코스피 = 직접비 + 간저비
- 직접비 : 간접비 = 1 : 4
- 직접비 = 법령으로 정한 피해자에게 지급되는 산재보상비
- 간접비 = 재산손실, 생산중단 등으로 기업이 입은 손실로서 정확한 산출이 어려울때 직접비의 4배
□ 시몬즈 방식
- 총재해 코스트 = 산재보험 코스트 + 비 보험 코스트
- 산재보험 코스트 = 보상됨 금액, 경비, 이익음(납입보험료)
- 비보험 코스트 = 보험 코스트의 평균치
- 재해의 종류 = 사망과 영구전노동불능은 제외
재해사례 연구의 진행단계
□ 전제조건 : 재해상황의 파악
□ 제 1단계 : 사실의 확인
□ 제 2단계 : 문제점의 발견
□ 제 3단계 : 근본적 문제점 결정
□ 제 4단계 : 대책의 수립
'자격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필기 - 산업심리 및 교육 정리(산업심리학-1) (0) | 2020.05.08 |
---|---|
건설안전기사 필기 - 산업안전관리론 정리(보호구 및 안전표시) (0) | 2020.05.08 |
건설안전기사 필기 - 산업안전관리론 정리(안전관리 체계 및 운영) (0) | 2020.05.04 |
건설안전기사 필기 - 산업안전관리론 정리(안전관리 개요) (0) | 2020.05.01 |
수족냉증 예방법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