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비계 적재하중을 정하고자 할때 안전계수를 쓰시오
→ 달기와이어로프 및 달기 강선의 안전계수 (10)
→ 달기체인 및 달기훅의 안전계수 (5)
→ 달기강대와 달비계의 하부 및 상부 지점의 안전계수 강재(2.5), 목재(5)
■ 다음용어를 설명하시오
→ 히빙 = 연질점토지반에서 굴착에 의한 흙막이 내, 외면의 흙의 중량 차이로 굴착저면이 부풀어 올라오는 현상
→ 보일링 = 사질토 지반에서 굴착저면과 흙막이 배변과의 수위차로 인해 굴착 저면의 흙과 물이 함께 솟구쳐 오르는 현상
■ 안전, 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 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의 종류를 쓰시오.
→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이상 발생한 사업장(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일 경우 3명이상)
→ 작업환경 불량, 화재, 폭발 또는 누출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
■ 인력으로 중량물을 하역 운반할 때의 몸의 자세를 쓰시오
→ 대상물을 들거나 내릴 때 척추의 형태가 정상이 되도록 한다.
→ 허리부분이 굽혀지거나 회전되는 것은 피한다.
→ 무거운 물체는 가볍게 나누어 들거나 둘이 든다.
→ 무거운 물체는 가능하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보조운반기구를 이용한다.
■ 양중기(승강기 제외) 및 달기구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보기 쉬운곳에 부착해야 하는 것
→ 정격하중
→ 운전속도
→ 경고표시
■ 도저의 설명
→ 앵글도저 = 블레이드를 좌우로 20~30도 정도 각을 지울수 있어 토사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 틸트도저 = 블레이드를 상하로 20~30도 정도 각을 지울 수 있어 블레이드 한쪽 끝부분에 힘을 집중시킬 수 있다.
■ 이동식 크레인의 종류
→ 트럭
→ 크롤러
→ 휠
■ NATM공법의 터널공사에서 지질 및 지층에 관한 조사를 통해 확인할 사항 3가지
→ 지하수위
→ 투수계수
→ 시추위치
■ 산업안전보건법상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또는 승강기에 설치할 방호장치의 종류 5가지를 쓰시오
→ 권과 방지 장치
→ 비상 정지 장치
→ 제동 장치
→ 속도 조절기
→ 과부하 방지 장치
■ 사업주는 거푸집 동바리등에 사용하는 동바리 멍에 등 주요 부분의 강관은 다음 기준에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 34 < 인장강도 < 41, 신장률 25%이상
→ 41 < 인장강도 < 50, 신장률 20%이상
→ 50 < 인장강도, 신장률 10%이상
■ 다음 빈칸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 터널건설작업을 할 때에 터널 내부의 시계가 배기가스나 (분진) 등에 의하여 현저하게 제한되는 경우에는 (환기)를 하거나 물을 뿌리는 등 시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자격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작업형 2014년 기출 정리 (0) | 2020.07.29 |
---|---|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작업형 2013년 기출정리 (0) | 2020.07.28 |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 필답형 요점정리 기출문제정리(4) (0) | 2020.07.06 |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 필답형 요점정리 기출문제정리(3) (0) | 2020.07.02 |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 필답형 요점정리 기출문제정리(2) (0) | 2020.06.30 |